스마트한 안성

전세사기,
미리미리 알아두고 예방하자!

주거 안정은 민생의 뿌리이자 기본이다.
그러나 최근 뉴스에서 하루가 멀다하고 전세사기 보도가 나오며
피해자가 속출하자 남의 일이 아니라 내 일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전국을 덮쳤다.
이에 안성시 소식지에서 전세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피해자 지원 방안까지 모두 살펴본다.
집단 전세사기,
충격에 빠진 대한민국
전세사기로 세상이 떠들썩하다. 뉴스에서 ‘건축왕’, ‘빌라왕’이라는 이름을 한 번이라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인천 미추홀구 전세사기를 일으킨 전세사기범 ‘건축왕’으로 인해 2,700여 세대가 피해를 입었다. ‘건축왕’은 건물을 지은 뒤 이 집을 담보로 금융회사에서 대출, 세입자를 받았다. 이후 대출금과 전세보증금을 이용해 또 다른 건물을 지었다. 그러나 피해 주택에는 대출이 끼어 있어 이 집을 경매로 판다 해도 선 순위 채권자인 금융회사에 넘어간다. 즉 전세보증금이 피해자들에게 돌아가기 어려운 구조인 것이다.
서울 강서구 ‘빌라왕’으로 인한 피해는 1,100세대가 넘는다. ‘빌라왕’은 전세금을 비싸게 받아 피해자들과 전세계약을 맺은 뒤 보증금을 활용해 또 다른 집을 사들였다. 일명 ‘무자본 갭투자’ 수법이다. 이후 자신은 차익만을 챙긴 뒤 세금 등의 책임은 바지 사장에게 넘기고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았다.
수천 채에 달하는 주택을 이용해 전세사기를 벌인 이들 때문에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없게 된 사람들. 그 고통으로 인해 스스로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연도 뉴스를 통해 알려지고 있다.
전세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전세사기 예방법에 대해 숙지해둔 뒤 계약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또 요즘에는 임차주택 위험 진단부터 전세보증 가입까지 가능한 ‘안심전세’ 어플도 함께 활용해보자.
<전세사기 예방법>
  1. 1. 등기부등본은 직접 발급받아서 확인
  2. 2. 신분증 진위 확인 및 실소유권자와 직접 만나서 계약
  3. 3.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4. 4.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
  5. 5. 공인중개사 신분 조회(국가 공간 정보 포털)
  6. 6. 근저당 금액이 매매가의 20% 초과 시 미 계약 고려
  7. 7. 전입신고나 확정일자를 미뤄달라고 요구할 시 의심
  8. 8. 계약 전 건축물대장을 확인해 불법 용도 변경 이력 확인
  9. 9. 전세대출이 안 된다고 해도 대출이 나오는 건물인지 확인
  10. 10. 주변 전세시세와 매매시세 같이 확인
최근 전세사기가 기승을 부리자 국토부, HUG(주택보증공사), 부동산원, 공인중개사협회, 감정평가사협회는 ‘안심전세’ 어플을 개발했다. 예전 같았으면 전세계약 전 등기를 떼서 소유주를 확인하고,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서 인근 빌라의 전세 가격을 알아보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했다. 그러나 ‘안심전세’를 활용하면 이 모든 것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어플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시세 제공(신축빌라 포함), 적정 전세가율 제공 및 인근 빌라 전세가 제공, 집주인 정보 공개 등이 있다.
신축빌라에서 전세사기가 빈번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를 예방하고자 준공 후 1개월이 지나면 부동산원에서 조사한 확정 시세를 제공한다. 또한 전세가와 해당 빌라의 매매가를 비교해 적정 전세가를 알려준다. 이를 통해 안심할 수 있는 전세계약인지에 대한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집주인의 정보제공을 통해 안심할 수 있는 건물, 집주인인지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격까지 제공하고 있으니, 전세계약 시 ‘안심전세’ 어플을 활용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안심전세’ 어플로
전세사기 사전 예방!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에 나선 정부
정부는 특별법 제정을 추진해 전세사기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당초 정부는 지원 요건으로 대항력 갖춘 뒤 확정일자 답변 유무 경매나 공매 진행 여부 서민 임차주택 여부 수사 개시 등 전세 사기와 연관 유무 피해자 다수 발생 우려 여부 보증금 상당액을 못 받을 우려 여부 등 6개 기준을 제시했는데, 더 많은 전세 사기 피해자가 특별법을 통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범위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전세사기 피해자가
이용가능한 대환 대출
(前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방안)
대환 대출이란? 전세사기 피해 임차인이 기존 전셋집에 계속 거주하는 경우 낮은 금리의 기금 대출로 갈아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
지원
요건
연소득 7,000만 원(부부합산) 이하 및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전용 면적 85㎡)
대출
한도
2억 4000만 원(보증금의 80% 이내),
연 소득과 주택 보증금에 따라
연 1.2~2.1% 금리 적용
취급
은행
국민·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
문의 전세피해지원센터 1533-8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