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보훈의 달 6월을 살아가며
경축일 및 평일
조의(弔意)를 표하는 날
호국보훈이란 나라를 보호하고 지킨다는 ‘호국(護國)’과 공훈에 보답한다는 ‘보훈(報勳)’이 합쳐진 말이다. 즉 국가를 위해 몸과 마음을 바친 분들의 뜻을 기리고 국가와 국민이 보답한다는 의미다. 국가보훈처는 6ㆍ6 현충일, 6ㆍ10 만세운동, 6ㆍ25 전쟁, 6ㆍ29 제2연평해전이 있는 6월을 호국보훈의 달로 지정했다.
먼저 6ㆍ6 현충일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선열의 넋을 위로하고, 그 정신을 추모하기 위해 1956년 지정된 법정기념일이다. 당일 오전 10시 정각에는 사이렌 소리가 울려 퍼진다. 국가유공자를 추모하고 그들의 헌신에 대한 고마움을 담아 1분간 묵념하는 시간이다. 현충일에는 태극기를 조기(弔旗) 게양하는데, 깃봉에서 깃 면의 세로길이 만큼 내려달며 조기는 현충일 당일에만 게양한다.
6ㆍ10 만세운동은 학생 중심의 민족독립운동이다. 일제강점기 침체되었던 독립운동에 새로운 불씨를 지핀 계기로 꼽히며 독립운동단체인 신간회 결성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6ㆍ10 만세운동은 3ㆍ1 운동, 11ㆍ3 학생독립운동과 함께 국내 3대 항일운동으로 꼽힌다. 6ㆍ10 만세운동은 2020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또 하나의 가슴 아픈 역사 6ㆍ25 전쟁이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인민군이 기습적으로 남침하며 전쟁이 시작되었다. 6ㆍ25 전쟁은 무려 3년간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남한의 사상자만 132만 명, 1천만 명 이상의 이산가족이 발생했다. 또한 전세계 21국에서 총 195만 명의 유엔군이 참전했고, 그중 약 4만 명이 전사하고 10만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전쟁은 1953년 7월 27일에야 휴전 협정이 체결되며 분단이라는 결말을 맞이했다.
국민들의 열기가 가장 뜨거웠던 때 발생한 사건도 있다. 2002년 한ㆍ일 월드컵 폐막을 하루 앞둔 2002년 6월 29일 발생한 6ㆍ29 제2연평해전이다. 1999년 6월 15일 제1연평해전이 벌어진 지 3년 만에 일어난 해전으로, 당시 우리 해군에서는 총 6명이 전사했으며 19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제2연평해전으로 인해 앞날이 창창했던 청춘들이 목숨을 잃었고 많은 이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6ㆍ25 전쟁으로 3년만에 만나는 모자
1953년 6ㆍ25 전쟁 병사 사진
미양 방면의 피난민 모습